라벨이 수사법 해설인 게시물 표시

추천글

형을 살고 나오면 빚은 사라질까? 형사처벌과 민사채권의 관계

형사 고소를 통해 상대방이 처벌을 받고 감옥에서 형을 마쳤다면, 피해자는 손해를 모두 회복한 것일까요? 많은 분들이 “형을 살았으니 빚도 끝난 것 아니냐”고 생각하지만, 형사처벌과 민사채권은 전혀 별개의 문제 입니다. 이 글에서는 형사처벌 이후에도 민사상 채권이 유효한 이유 , 피해자가 돈을 돌려받기 위한 절차 , 실질적인 회수 가능성 , 그리고 주의해야 할 법적 쟁점 까지 상세히 안내합니다. 1. 형사처벌과 민사채권은 왜 별개인가? 형사재판은 국가가 범죄자를 처벌하는 절차 입니다. 반면 민사재판은 개인 간의 금전적 손해를 회복하기 위한 절차 입니다. 즉, 형사처벌은 국가에 대한 책임이고, 민사채권은 피해자에 대한 책임입니다. 구분 형사재판 민사재판 목적 범죄에 대한 처벌 손해에 대한 배상 주체 국가(검찰) vs 피고인 피해자(원고) vs 가해자(피고) 결과 징역, 벌금, 집행유예 등 손해배상금, 대여금 반환 등 채권 회수 가능 여부 불가 가능 (판결 후 강제집행 가능) 따라서 형을 마쳤다고 해서 피해자에게 진 빚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2. 형을 살고 나와도 채무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민법상 채무는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어야 소멸합니다. 변제(돈을 갚음) 소멸시효 완성 채권자의 면제 공탁, 상계 등 법률상 소멸 사유 하지만 형사처벌은 채무 소멸 사유가 아닙니다. 즉, 감옥에서 형을 마치고 나왔다고 해도 피해자에게 갚아야 할 돈은 여전히 존재 합니다. 📌 참고: 대법원 판례(1999다18124) 는 “형사고소는 민사채권의 소멸시효를 중단시키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3. 피해자가 돈을 돌려받기 위한 절차 ① 민사소송 제기 대여금반환청구소송 또는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소송 을 제기합니다. 형사재판에서 유죄가 확정된 경우, 민사소송에서 입증이 훨씬 유리 합니다. 소송 제기 전 내용증명 발송 을 통해 채무 이행을 촉구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② 판결 확정 후 강제집행 승소 판결을 받으면 집행문 부여 를 신청해 강제집행이 가능합니다. 부...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는 공감각적 심상인가요? 감각적 표현과 수사법의 구체적 구분

문학 작품을 읽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심상’입니다. 심상은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장면이나 정서를 독자가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떠올릴 수 있도록 만드는 수사적 장치로, 표현된 감각에 따라 다양한 유형 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이해하기 어렵고 자주 오해가 생기는 유형이 바로 공감각적 심상 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와 같은 표현을 공감각적 심상으로 오해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표현이 공감각적 심상에 해당하는지를 문학이론적 관점과 수사법적 기준 을 바탕으로 아주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합니다. 1. 공감각적 심상이란 무엇인가요? 공감각적 심상 (共感覺的心象)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감각을 혼합하거나 전이시켜 표현한 심상 을 말합니다. 인간의 오감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중 두 가지 이상이 하나의 표현 안에서 함께 작용하거나 상호 변형 될 때 이를 공감각이라고 부릅니다. 공감각적 심상의 핵심 요소 감각 간의 전이 또는 융합 : 하나의 감각을 다른 감각의 표현 언어로 바꾸거나, 감각이 서로 뒤섞여 새로운 이미지로 표현됩니다. 비유 , 은유 적 언어 사용 : 단순한 설명이나 묘사가 아니라 수사적 장치를 통해 감각을 확장하거나 치환합니다. 심리적 효과 : 독자가 실재하지 않는 감각 경험을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대표적인 공감각적 심상 예시 표현 해석 감각의 조합 “달콤한 목소리” 청각 정보(목소리)에 미각 형용사(달콤한)를 사용 미각 + 청각 “파란 향기” 후각적 대상을 시각 언어로 표현 시각 + 후각 “따뜻한 음악” 청각 대상을 촉각으로 전이 촉각 + 청각 이처럼, 공감각 표현은 현실에서는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감각의 혼합을 통해 독자에게 새로운 이미지와 감정을 환기시킵니다. 3. 그렇다면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는 공감각일까요? 이 표현은 각각의 감각을 나열하여 하나의 대상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향긋한’ : 후각에 해당합니다. ‘노란색’ : 시각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