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글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는 공감각적 심상인가요? 감각적 표현과 수사법의 구체적 구분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문학 작품을 읽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심상’입니다. 심상은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장면이나 정서를 독자가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떠올릴 수 있도록 만드는 수사적 장치로, 표현된 감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이해하기 어렵고 자주 오해가 생기는 유형이 바로 공감각적 심상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와 같은 표현을 공감각적 심상으로 오해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표현이 공감각적 심상에 해당하는지를 문학이론적 관점과 수사법적 기준을 바탕으로 아주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합니다.
1. 공감각적 심상이란 무엇인가요?
공감각적 심상(共感覺的心象)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감각을 혼합하거나 전이시켜 표현한 심상을 말합니다. 인간의 오감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중 두 가지 이상이 하나의 표현 안에서 함께 작용하거나 상호 변형될 때 이를 공감각이라고 부릅니다.
공감각적 심상의 핵심 요소
감각 간의 전이 또는 융합: 하나의 감각을 다른 감각의 표현 언어로 바꾸거나, 감각이 서로 뒤섞여 새로운 이미지로 표현됩니다.
심리적 효과: 독자가 실재하지 않는 감각 경험을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대표적인 공감각적 심상 예시
표현 | 해석 | 감각의 조합 |
---|---|---|
“달콤한 목소리” | 청각 정보(목소리)에 미각 형용사(달콤한)를 사용 | 미각 + 청각 |
“파란 향기” | 후각적 대상을 시각 언어로 표현 | 시각 + 후각 |
“따뜻한 음악” | 청각 대상을 촉각으로 전이 | 촉각 + 청각 |
이처럼, 공감각 표현은 현실에서는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감각의 혼합을 통해 독자에게 새로운 이미지와 감정을 환기시킵니다.
3. 그렇다면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는 공감각일까요?
이 표현은 각각의 감각을 나열하여 하나의 대상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향긋한’: 후각에 해당합니다.
‘노란색’: 시각에 해당합니다.
‘바나나’: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실체명사입니다.
표현의 구조를 보면, 후각과 시각이 병렬적으로 병치되어 나열되어 있으며, 이 둘이 서로 뒤섞이거나 전이되지 않습니다. 각각의 수식어는 단순히 바나나라는 대상에 대한 구체적 묘사를 위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향긋함’은 냄새를 설명하고, ‘노란색’은 색을 묘사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감각이 융합되거나 교차되지 않았습니다.
만약 다음과 같이 표현되었다면 공감각에 해당했을 수 있습니다: 예: “노란 향기가 퍼졌다.” → 시각(노란) + 후각(향기)
이러한 경우, 감각이 섞여 감상자에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복합적 이미지와 감정을 전달하는 효과를 낳습니다. 그러나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는 실제 감각의 병렬적 나열에 해당하며, 공감각적 심상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4. 공감각적 심상을 판별하는 기준
판단 기준 | 공감각적 심상 | 일반적 묘사 |
---|---|---|
감각의 혼합 또는 전이 여부 | 감각이 서로 융합되거나 바뀜 | 감각이 개별적으로 병렬됨 |
언어 표현 방식 | 수사적·은유적 표현 | 설명적·묘사적 표현 |
예시 | “빛나는 향기”, “차가운 울음소리” | “시원한 바람”, “붉은 장미의 향기” |
공감각 표현은 독자가 오감을 초월해 ‘새로운 감각 경험’을 하는 느낌을 줄 수 있어야 하며, 감각이 어색하거나 낯설게 배치될수록 그 효과는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문학 작품 속 공감각 표현 예시
박남수, 「꽃」
“분홍빛 어깨 위로 달콤한 음악이 흐르고”
→ 분홍빛(시각), 달콤함(미각), 음악(청각)의 교차로 감각 전이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그립다 말하면 가슴이 서늘한 것이”
→ 언어(청각) → 감정 → 촉각으로 감각이 확장되는 효과
밀턴, 『실낙원』
“이슬이 황금빛 음악처럼 내렸다”
→ 이슬(촉각), 황금빛(시각), 음악(청각)을 결합한 공감각 이미지
6. 결론
‘향긋한 노란색 바나나’는 분명히 후각과 시각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이 두 감각이 상호 전이되거나 혼합되어 새로운 심상을 형성하는 표현은 아닙니다. 따라서 해당 문장은 공감각적 심상이라기보다는 감각 수식어의 병렬적 나열에 해당하며, 일반적인 감각적 묘사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공감각적 심상은 작가가 독자의 감각을 초월해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차원적 수사 기법이며, 단순한 감각 묘사와는 엄연히 구별됩니다.